📑 목차
슬기로운 입원생활 ① – 내 상태 파악하기 (발목 부상과 수술 결정)
by 자브지시끄네
💊 이 시리즈는 실제 입원 경험을 바탕으로, 처음이라 당황스러운 입원생활을 슬기롭게 준비하고 이겨내는 법을 담았습니다.
본인뿐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도움이 될 정보와 공감, 그리고 현실적인 웃음을 전합니다.
서론: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지 말 것
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몇 번의 수술을 겪게 될까요? 그리고 그 수술로 인해 병원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일은 얼마나 있을까요. 아무도 알 수 없지만, 그 ‘누군가’가 바로 내가 될 수도 있습니다. 저는 그 사실을 이번에 몸소 경험했습니다.
겨울의 길은 특히 위험합니다. 시골의 눈길은 더 미끄럽고, 우리 집은 비탈길이라 눈이라도 오면 매번 전쟁이에요. 그날도 굵은 눈발이 내렸고, 저는 “조심해야지” 되뇌며 문을 나섰습니다.
평소에도 오른쪽 발목이 자주 접질려 늘 조심했는데, 그날 미끄러운 바닥을 딛는 순간 발이 ‘확’ 꺾였습니다. 숨이 멎을 정도로 아팠지만, “잠깐 쉬면 낫겠지”라며 스스로를 달랬습니다. 하지만 며칠 뒤, 발을 디딜 때마다 찢어지는 통증이 올라왔고 그제야 ‘이번엔 다르다’는 걸 깨달았습니다.
본론
① 시골병원의 첫 진단
제가 사는 곳은 작은 시골 마을이라 병원을 가려면 읍내까지 나가야 합니다. 첫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은 뒤, 의사 선생님은 단호하게 말씀하셨습니다.
“움직이지 마세요. 보호대를 착용하고 절대 쓰면 안 됩니다.”
보호대를 착용하고 조심조심 지냈지만, 일은 많고 몸은 불편하고 답답했습니다. 결국 어느 날 “이제 괜찮겠지” 하며 보호대를 벗었고, 그날 이후 통증은 다시 심해졌습니다.
“아... 이번엔 정말 아프다.” 그 말이 절로 나왔습니다.
② 두 번째 병원, 더 무거워진 진단
통증이 줄지 않아 다른 병원에 가보니 결과는 더 심각했습니다.
“이건 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절대 무리하지 마세요.”
하지만 현실은 냉정했죠. “안 쓰고 어떻게 살아요? 일도 해야 하는데…” 결국 주사와 진통제, 보호대에 의존하며 버텼습니다. 밤이면 통증 때문에 잠을 설치고, 아침이면 붓기로 신발 신기가 힘들었습니다.
몇 주가 지나자 “이제는 더 미루면 안 되겠다”는 생각이 들었고, 그때부터 저는 통증을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. 언제, 어떤 상황에서 아픈지 간단히 적어두니 병원에서 설명할 때도 도움이 되고, 저 자신도 회복 속도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.
③ 서울로, 족부 전문 병원을 찾아
결심 끝에 서울의 족부 전문 병원을 폭풍 검색했습니다. 예전 무지외반증 수술 때 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해 고생한 기억이 있었거든요. 이번엔 후기, 의료진 이력, 수술 후 관리 시스템까지 꼼꼼히 확인했습니다.
병원에 도착하니 대기 인원이 많았습니다. ‘세상 아픈 사람은 다 여기 있나?’ 싶었지만, 오히려 안심이 되더군요. 병원은 쾌적했고, 족부·수부·신경과·내과 등 협진 체계도 갖춰져 있었습니다. (그땐 몰랐습니다. 제가 그 모든 진료과를 다 거치게 될 줄은요.)
검사는 길었습니다. 엑스레이만 수십 장 찍은 듯했고, 다양한 각도로 촬영이 이어졌습니다.
④ 마지막 희망, 또 다른 병원
집으로 돌아온 후, 지인들에게 상황을 알렸습니다. “병은 소문을 내야 낫는다”는 말처럼, 여기저기 물었죠. 그중 한 지인이 족부 명의로 알려진 병원을 소개해줬습니다. 혹시라도 수술을 피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예약했습니다.
이번엔 검사가 길지 않았습니다. CT 촬영 후 의사 선생님은 짧게 말씀하셨습니다. “너무 심해서 바로 수술하셔야 합니다.” 두 번째로 같은 말을 들으니 오히려 차분해졌습니다. ‘이제는 받아들여야겠구나.’ 그제야 제 마음이 수술을 향했습니다.
결론: 명의보다 중요한 건 ‘신뢰’
결국 저는 수술을 결심했습니다. 선택지는 두 곳이었습니다. 하나는 협진이 가능한 병원으로, 수술 후 경과를 충분히 지켜보며 7~10일간 입원이 가능한 곳. 또 하나는 족부 단일 전문 병원으로, 수술 후 3일 만에 퇴원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.
‘족부 명의’라는 말이 흔들리긴 했지만, 저는 수술 후 경과 관찰과 협진 체계를 더 중요하게 봤습니다. 보호자 동선, 통증 조절, 재활 접근성까지 생각하면 제 상황에 맞는 선택은 분명했죠.
결정에 힘을 준 건 전직 수술 간호사였던 지인의 말이었습니다. “명의도 그날 컨디션에 따라 달라요. 중요한 건 신뢰예요.” 결국 치료는 사람의 손끝과 마음의 신뢰로 완성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.
병원을 정하고 나니 수술을 끝낸 것처럼 마음이 반쯤 가벼워졌습니다. 하지만 알았습니다.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라는 걸요.
📘 다음 글 예고